3.1 만세운동을 기념하여 도시촬영이 진행되었습니다.. 사직재개발 1,2,3,4 지역을 방문. 어제 함께 ‘미래 포럼‘ 이은진의 댓글과 참가자들이 찍은 사진 공유.
<参观社稷洞再开发区>
이은진 (미래포럼 회원)
3·1절에 의미 있는 일을 하고 싶어서 인권 연대의 마음으로 사직동 재건축지구와 운리단길을 걷기로 했다.. 집은 똥강아지들이 지키고 있었고 나는 탈출했다.

나는 항상 시골에서 살았기 때문에 재건되고 있는 도시에서 살아본 적이 없습니다.. 서울에서 일어난 줄 알았는데 청주에서도 일어났다.. English Institute로 가는 길에 처음으로 재건축된 사무실을 보고 오늘 자세히 살펴보기로 했습니다.. 아직도 홍수로 피해를 입은 우신강을 건너 사직동 재건이 한창인 곳에 이르렀다.. 우선 공사가 진행중이라 공사화면이 삼그것은 바닥 수준으로 올라갑니다.. 철거가 시작된 곳이라 먼지투성이입니다.. 인권연대는 환경을 위해 먼지를 줄이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세먼지가 많아지는 계절이라 더욱 예민해집니다..


재건축 예정이었던 골목길도 살펴봤다.. 영화에서나 나올 법한 초라한 70.801970년대 골목길을 볼 수 있어서 최대한 사진에 담으려고 노력했습니다.. 자세히 들여다보니 지금 하지 않으면 영원히 없어질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역사 속으로 사라진 장소를 기리기 위한 우리의 노력이 헛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에 대한8수천 가구가 지어진 이곳이 지어질 수 있을까?? 레고랜드 위기는 금융 산업을 뒤흔들었습니다., 최근 울산대우건설은 PF수수료 및 이자율 440 나는 수십억 달러를 들여 주상복합 건설을 포기했다.. 현재 건설시장은 너무도 냉혹합니다.. 그리고 연준은 금리를 인하할 의도가 전혀 없으며 이기적으로 다른 국가의 디폴트 상황을 만듭니다.. 게다가 작년에 많은 가구가 팔렸고 젊은 세대가 일시적으로 팔았고 거기에는 아무도 살지 않았기 때문에 여전히 미분양 주택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다만, 상황의 시작이라 얼마나 걸릴지는 알 수 없습니다.. 너무 어둡다.

오래된 도심의 재개발은 주민들에게 몇 푼의 비용이 들고 그들을 도심 밖으로 몰아냅니다.. 점점 더 가난해지는 결과는 반갑지 않고, 개발업자만이 수익을 낼 수 있고 따라서 아파트를 계속 지을 수 있습니다.. 주민과 개발업자가 이익을 공유한다는 순진한 생각은 완전히 버려야 하지만 열악한 주거환경은 막아야 한다..

그림 / 류하오찬, 페이 체, 이은진, 이은규